'띠리딩 띠리딩~'
대부분 들어봤을 것이다. 기억 저편에서 무의식이 나에게 '익숙하다!'라고 외치는 바로 그 음악이다.
현대자동차의 TV광고 맨 마지막에 나오는 징글(jingle)이다.
이 음악이 바로 현대자동차의 Brand Sound이다.
Brand Sound는 무엇인가
"해당 브랜드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테마곡"이라고 나는 정의한다.
대표적인 예로 '20세기 폭스'의 오프닝 노래라든지, 애플의 맥북의 부팅 사운드, 인텔 광고에 등장하는 '딩- 딩딩딩딩~' 소리가 있다.
특히, 20세기 폭스의 브랜드 사운드는 작년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영화 <보헤미안 랩소디>에서 락 버전으로 편곡되어 화제가 되었다.
브랜드 사운드 역시 브랜드를 구성하는 큰 요소 중 하나이다.
보통 기업에서는 대표 테마(모티프)를 만들고, 이를 변주해서 자사 브랜드의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한다.
전화 연결음, 광고, 오프라인 매장 등.
현대자동차의 경우에는 자동차를 제조하는 업체이므로, 시동을 켜고 끌 때도 이 사운드가 들어간다.
기업에서 브랜드 사운드를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?
인간의 오감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시각(70%)이다.
시각적 정보는 매우 다양하고 즉각적이고, 바로 인식이 되지만, 그만큼 처리해야할 정보의 양이 많기 때문에 금방 잊게 된다.
이에 비해, 청각적인 정보는 시각적 정보에 비해 다양하지는 않지만, 한 번 인식되면 잘 잊혀지지 않는 정보라고 한다.
그래서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들이 브랜드 사운드를 만드는 것 같다.
얼핏 들어보면 브랜드 사운드는 심플해서 금방 만들 수 있다는 느낌이 든다. 하지만 그렇지 않다.
브랜드의 모든 요소처럼, 한 번 만들고 개선할 때마다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, 브랜드 사운드 역시 깐깐하게 디자인된다.
다음은, 브랜드 사운드를 구축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이다.
첫째, ‘한 번 듣고 쉽게 기억할 수 있는가?’
둘째, ‘브랜드 이미지와 잘 어울리는가?’
셋째, ‘트렌드 변화에 자유로운가?’
삼성전자는 현대자동차처럼 그룹 자체를 상징하는 브랜드 사운드는 없지만, 갤럭시 시리즈를 상징하는 브랜드 사운드를 가지고 있다.
<Over the horizon>이라는 곡인데, 매번 신제품이 런칭할 때마다 조금씩 편곡을 하고 있다.
삼성전자의 '도전정신과 혁신'을 상징한다.
스토리와 결합한 브랜드 사운드
위 영상을 보고 간략하게 정리해보았다.
스토리를 기반으로, 모티프를 만들고, 모티프를 변주해 브랜드 상품 서비스에 활용하는 이 일련의 과정이 내게는 브랜딩의 정석으로 보인다.
그만큼 감동도 많이 받았다.
기업의 존재목적이 '이윤 추구'가 아닌 '생존'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, 경쟁자들이 많고 경제도 어려운 상황이다.
이럴 때 기업의 생존을 조금이라도 돕는 것이 정립된 브랜드 자산인 것 같다.
'Brand > Brand & Market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무인양품] <무인양품, 보이지 않는 마케팅> 북토크 (0) | 2019.03.08 |
---|